보건복지부는 7~12월 공공기관 등 관련기관 총 1855개소를 대상으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3년 주기로 하는 이번 실태조사는 올해 세 번째 조사이다. 조사 결과는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실태조사는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제도 운용 현황을 종합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추진됐다. 2025년 중증장애인 생산품 법정 의무 구매 비율이 1.1%로 상향됨에 따른 현장 의견 수렴을 위한 문항을 추가하고, 생산 품목 다양화와 상품 사후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도 추가했다.
복지부는 실태조사에 대한 이해도와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24일 1차 교육을 시작으로 중증장애인 생산품 생산 시설 대상 권역별 교육도 총 3회 실시한다.
김민정 장애인자립기반과장은 "이번 실태조사는 중증장애인 생산품 법정 의무 구매 비율 상향 이후 처음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 결과가 우선구매 제도 활성화와 장애인 고용 확대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각 기관에서는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